1. 의존성(Dependency) 추가 build.gradle 수정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 참고) dependencies 우클릭 > Generate > Add dependency > 검색 > Add 로 추가 가능 2. IntelliJ 설정 1) Setting > Build, Exeution, Deployment > Compiler > Build project autiomaically 체크 2) Advanced Settings > Allow auto-make to start even if developed application is currently running 체크 3. Load Gr..
vscode에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뜰 때가 있다. 해당 에러는 vscode의 jvm 버전이 현재 JAVA_HOME에 설정된 자바의 버전과 같지 않을 때 발생한다. vscode 커맨드 창에서 user settings 입력 검색창에 jvm 입력 default를 원하는 버전으로 변경. default 가 1.8 버전이기 때문에 위 에러에서 1.8이 떴던 것이었다. 필자의 경우엔 17로 입력하였다. 그리고 커맨드 창에 reload를 입력하여 vscode를 재실행한다. 문제가 해결된 것을 볼 수 있다!
Snapshot 개발 중인 버전의 스냅샷입니다. 실험 중인 버전이기 때문에 새로 개발 중인 기능이 있을 수 있습니다. M(Milstone) 스냅샷의 마일스톤 입니다. 스냅샷보다 정리가 잘 되어 있지만 역시 새로 개발 중인 기능이 있을 수 있습니다. RC(Release candidate) 말 그대로 릴리즈 후보라는 뜻입니다. 큰 문제가 없다면 개발된 기능들이 배포되며 적당한 수정 및 테스트를 거치고 나면 정식 버전으로 출시됩니다. ga 최종 릴리즈 버전입니다. 수정 및 테스트는 이후 버전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예외 처리는 robust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Spring 프레임워크는 매우 다양한 에러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앞선 포스팅에서 @RestControllerAdvice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stControllerAdvice를 이용해 에러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현하면서 살펴보도록 하자. 1. ControllerAdvice와 RestControllerAdvice [ ControllerAdvice와 RestControllerAdvice ] Spring은 전역적으로 예외를 처리할 수 있는 @ControllerAdvice와 @Rest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을 각각 Spring3.2, Spring4.3부터 ..
이번에는 JPA Entity에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특정 로직을 실행시킬 수 있는 @EntityListeners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예제 코드는 Spring boot와 Kotlin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JPA EntityListeners 란? 하이버네이트 문서에서는 JPA Entity에 이벤트가 발생할 때 콜백을 처리하고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제 하이버네이트에서 지원하는 콜백 메서드들을 살펴보자. EntityListeners는 JPA Entity에 Persist, Remove, Update, Load에 대한 event 전과 후에 대한 콜백 메서드를 제공한다. 이번 글에서는 간단한 예제로 Update 하는 코드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예제 코드 @Component class U..
출처: https://ict-nroo.tistory.com/129 [JPA] @MappedSuperclass @MappedSuperclass객체의 입장에서 공통 매핑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id, name은 객체의 입장에서 볼 때 계속 나온다.이렇게 공통 매핑 정보가 필요할 때, 부모 클래스에 선언하고 속성만 상속 받아 ict-nroo.tistory.com @MappedSuperclass 객체의 입장에서 공통 매핑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id, name은 객체의 입장에서 볼 때 계속 나온다. 이렇게 공통 매핑 정보가 필요할 때, 부모 클래스에 선언하고 속성만 상속 받아서 사용하고 싶을 때 @MappedSuperclass를 사용한다. DB 테이블과는 상관없다. 아래에 보면 DB는 매핑 정보 다 따..